전체 글
-
[Github] Github theme 수정 ( Chirpy 커스터마이징)Github 2022. 12. 7. 17:55
Github blog를 만들어 보았는데요, 이번에는 테마 수정 하는 글을 포스팅하겠습니다~ Github blog 생성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2.12.06 - [Github] - [Github] Github blog 생성하기 [Github] Github blog 생성하기 1. Ruby 설치 2. 로컬 저장소 폴더 생성 3. Jekyll & Bundler 설치 4. 테마 다운로드 5. chirpy 초기화 6. chirpy 파일 수정 7. Github repository 생성 8. 로컬 서버 실행 9. 파일 정리 10. 배포 제가 생성한 github page입 code-space.tistory.com 1. 파일 설명 2. config 파일 수정 3. footer 파일 수정 4. 바로가기 아..
-
[Github] branch renameGithub 2022. 12. 7. 14:11
Github에서 rename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github repository > settings > branches rename을 클릭하고 바꾸고 싶은 name으로 변경합니다. "master" → "main"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작업이 남아있습니다~ github에서 rename하게 되면 친절하게 다음에 해야할 작업을 알려줍니다. 로컬 환경에서의 branch도 rename 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master" → "main" 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git branch -m mastser main //[변경 전 name] [변경 후 name] git fetch origin //[remote 이름] git branch -u origin/main main g..
-
[Github] Github blog 생성하기Github 2022. 12. 6. 17:19
1. Ruby 설치 2. 로컬 저장소 폴더 생성 3. Jekyll & Bundler 설치 4. 테마 다운로드 5. chirpy 초기화 6. chirpy 파일 수정 7. Github repository 생성 8. 로컬 서버 실행 9. 파일 정리 10. 배포 제가 생성한 github page입니다. 계속 아래와 같은 "index.html" 이 출력되서 5-6번 다시 만들었습니다ㅠㅠ ---layout: home # Index page --- 이것 저것 수정하다가 안되겠다 싶어서 repository 삭제하고 다시 만들기를 반복했네요. 힘들었지만 정상 작동해서 속시원!~ 자 이제 제가 재재재재재구현한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1. Ruby 설치 Ruby 언어로 만들어진 Jekyll을 사용하기위해 Ruby를 설치합니..
-
[Github] Leetcode 연동Github 2022. 12. 3. 19:21
1. 구글 확장 프로그램 Leethub 설치 LeetHub Automatically integrate your Leetcode & GeeksforGeeks submissions to GitHub chrome.google.com 2. GitHub 계정 연동 3. 옵션 선택 - 기존 repository에 연결 - 새로운 private repository에 연결 중 원하는 방법으로 선택합니다. 저는 새로운 private repository에 연결했습니다. 4. 연동이 완료되면 이렇게 문제 풀이 통계도 나옵니다. 5. leetcode에서 문제를 풀면 자동으로 github에 올라갑니다. 저는 private을 public으로 변경하였습니다. public ↔ private 변경 방법은 settings > Danger..
-
[Git] Git 명령어 모음Github 2022. 12. 3. 17:07
1. Git 영역 - Working Directory ( Local ) : 개인 코드 작성 - Staging area : git add를 통해 수정된 코드를 올리는 영역 - Repository : git commit 을 통해서 최종 수정본을 제출 2. github업로드 절차(프로세스) 1. github 원격 저장소 생성 2. github 원격 저장소 clone(복제하기) 3. 내 로컬(컴퓨터)에 프로젝트 생성 후, 복제한 원격 저장소 다운받기 4. 내 로컬의 원격 저장소 폴더에서 작업(코딩)하기 5. add : 작업한 파일 중에서 원격 저장소에 반영할 부분 추가하기 6. commit : 먼저 로컬(내 컴퓨터)에서 수정된 소스 파일 반영하기 7. push : 로컬(내 컴퓨터)에서 수정한 소스 파일을 g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