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Project] day2 :Project 2024. 5. 3. 17:20
회원 가입 기능 개발 mustache에서 이메일 형식이 맞으면 addAttribute 안하니까 key가 없다는 에러 참고 https://blog.naver.com/star_breeze/220534943357 https://m.blog.naver.com/nuberus/221884812398 https://velog.io/@vpdls1511/BaseEntity-%EC%A0%81%EC%9A%A9-%EC%8B%9C-NULL%EA%B0%92-%EB%93%A4%EC%96%B4%EA%B0%90 https://velog.io/@goat_hoon/Lombok-Email-%EC%96%B4%EB%85%B8%ED%85%8C%EC%9D%B4%EC%85%98%EC%9D%98-%EC%95%BD%EC%A0%90-%EB%B6..
-
[Project] day1 : Bootstrap 적용Project 2024. 5. 2. 22:08
반응형 웹을 적용하고자 springboot에 Bootstrap을 사용하려고 한다. 2가지 방법이 있다.1) CDN으로 링크 적용2) 컴파일된 소스 파일 다운받아 로컬에 설정 1번은 CDN링크만 코드에 추가해주면 된다. Get started with BootstrapBootstrap is a powerful, feature-packed frontend toolkit. Build anything—from prototype to production—in minutes.getbootstrap.com 근데 시간이 지나면 링크가 변경되기도 하고 계속 불러와야 하니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고 싶었다. 2번 방식으로 사용하려고 검색하니 다들 CDN방식으로 사용해서 찾아보느라 시간이 좀 걸렸다.(1) 컴파일된 CSS, JS..
-
[Project] day1 : JDBC 세팅 , 에러Project 2024. 5. 2. 13:48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후 실행시키면 에러가 발생한다.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 evaluation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2024-05-02T11:39:17.092+09:00 ERROR 3024 --- [nextcommerce] [ main] o.s.b.d.LoggingFailureAnalysisReporter : *************************** APPLICATION FAILED TO START *************************** Description: Failed to configure..
-
[CS] DispatcherServlet, filter, interceptorComputer Science/CS 2024. 4. 29. 15:54
Servlet서블릿은 자바 언어를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개발하기 쉽게 하기 위해 만든 API이다.자바 웹 페이지를 접근하기 위한 API를 제공한다. DispatcherServletDispatcher는 "급파자", "보내다" 라는 의미이다.→ 가장 먼저 요청 받고, 처리할 컨트롤러를 찾아서 정해주는 역할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어떠한 요청이 오면 톰캣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가 요청을 받게 된다.그리고 이 모든 요청을 프론트 컨트롤러인 디스패처 서블릿이 가장 먼저 받게 된다. 그러면 디스패처 서블릿은 공통적인 작업을 먼저 처리한 후에 해당 요청을 처리해야하는 컨트롤러를 찾아서 작업을 위임한다. FrontController는 주로 서블릿 컨테이너의 제일 앞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받아서 처리..
-
[CS] Load balancingComputer Science/CS 2024. 4. 10. 10:42
로드 밸런싱 부하분산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법 여러 서버가 분산 처리하는 것 사용자가 많아져 트래픽이 하나의 서버로 몰리지 않도록 적절하게 분배시키는 역할 로드 밸런싱의 종류 ● L4 Transport계층을 사용, IP주소와 포트 번호 부하 분산이 가능 ▷장점 - 패킷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로드를 분산하므로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음 - 데이터의 내용을 복호화할 필요가 없기에 안전 - L7 로드 밸런서보다 가격이 저렴 ▷ 단점 - 패킷의 내용을 살펴볼 수 없으므로, 섬세한 라우팅 불가 - 사용자의 IP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라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움 ● L7 Application계층을 사용, URL 또는 HTTP헤더에서 부하 분산이 가능 - L4로드밸런서의 기능을 더하여,..
-
[CS] Proxy PatternComputer Science/CS 2024. 4. 9. 16:07
프로그래밍에서 프록시 패턴은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이다. 프록시 패턴은 대상 원본 객체를 대리하여 대신 처리하게 함으로써 로직의 흐름을 제어하는 행동 패턴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접목해보면 클라이언트가 대상 객체를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프록시(대리인)을 거쳐서 쓰는 코드 패턴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대상 객체(subject)의 메소드를 직접 실행하는 것이 아닌, 대상 객체에 접근하기 전에 프록시 객체의 메서드를 접근한 후 추가적인 로직을 처리한뒤 접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실행시킬 클래스에 대한 객체가 들어갈 자리에 대리자 객체를 대신 투입한다. 클라이언트 쪽에서 실제 실행시킬 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하고 반환 값을 받는지, 대리자 객체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하..